AJCC 9th Edition (2021 ~ 2024) 분석 및 예시
해당 포스팅은 AJCC 9th Edition (2021 ~ 2024) 에 대한 분석 및 예시를 다룹니다. 모든 내용은 나만을 위한 것이며, AI 시대에 맞춰 나만의 지식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 목차
- 🔎 용어 백과사전 (암 병기 쉽게 이해하기)
- 1. 유방암 (Breast Cancer)
- 2. 폐암 (Lung Cancer)
- 3. 위암 (Gastric Cancer)
- 4. 대장암 (Colorectal Cancer)
- 5. 간암 (Hepatocellular Carcinoma)
- 6. 췌장암 (Pancreatic Cancer)
- 7. 식도암 (Esophageal Cancer)
- 8. 후두암 (Laryngeal Cancer)
- 9.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 10.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 11. 피부 흑색종 (Melanoma)
- 12. 갑상선암 (Thyroid Cancer)
🔎 용어 백과사전 (암 병기 쉽게 이해하기)
병기(Stage)
암이 몸에 얼마나 퍼졌는지를 숫자나 문자로 구분합니다.
- 1기: 초기
- 4기: 말기 (전이 상태)
T (Tumor)
암의 크기와 침윤 정도
- T1: 작음
- T4: 주변 장기까지 침범
N (Node)
림프절로 퍼졌는지
- N0: 퍼지지 않음
- N1~N3: 퍼진 개수에 따라 구분
M (Metastasis)
몸의 다른 장기(간, 폐 등)로 퍼졌는지
- M0: 없음
- M1: 있음
Grade (분화도)
암세포가 얼마나 정상 세포와 다른지
- 1~3단계, 숫자 높을수록 악성
PSA (전립선암 지표)
수치가 높을수록 암 가능성↑
Gleason Score (전립선암 악성도)
암의 공격성 점수. 최대 10점
Breslow Thickness
피부 흑색종의 깊이 (mm 단위)
궤양
암 부위가 짓무른 상태 → 병기 상승
병리 보고서
현미경으로 암을 분석한 공식 문서
AJCC
암 병기 체계를 만든 국제기관 (미국암연합회)
🔍 1. 유방암 (Breast Cancer) {#1-유방암-breast-cancer}
📘 암종 설명
유방암은 전 세계 여성에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대부분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또는 “침윤성 소엽암(Invasive Lobular Carcinoma, ILC)”의 형태로 발생합니다. 병리과에서는 조직학적 유형, 호르몬 수용체 상태(ER, PR, HER2), Ki-67 지표 등을 포함한 진단이 핵심입니다.
- 침윤성 유관암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유관에서 발생하여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는 형태.
- 침윤성 소엽암 (Invasive Lobular Carcinoma, ILC): 소엽에서 발생하여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는 형태.
AJCC 9차에서는 종양의 크기(T), 림프절 전이(N), 원격 전이(M) 외에도 생물학적 지표 (ER/PR/HER2)를 기반으로 병기 그룹 조정이 중요하게 다뤄졌습니다. 병기 시스템은 치료 계획 수립과 예후 판단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 T (Primary Tumor)
- Tis: 상피내암 (DCIS, LCIS)
- T1: 종양 ≤ 20mm
- T1mi: ≤ 1mm
- T1a: > 1mm ≤ 5mm
- T1b: > 5mm ≤ 10mm
- T1c: > 10mm ≤ 20mm
- T2: > 20mm ≤ 50mm
- T3: > 50mm
- T4: 흉벽, 피부 침범
- T4a: 흉벽 침범
- T4b: 피부 침범 (궤양 등)
- T4c: T4a + T4b
- T4d: 염증성 유방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림프절 전이 없음
- N1: 동측 액와 림프절 1~3개 전이
- N1mi: 미세 전이 (0.2~2mm)
- N2: 고정된 림프절 또는 내유방 림프절
- N3: 쇄골상 림프절 또는 여러 림프절 동시 침범
🔸 M (Distant Metastasis)
- M0: 원격 전이 없음
- M1: 폐, 간, 뼈 등으로 전이된 경우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1. 유방암 (Breast Cancer)
병기 | T | N | M |
---|---|---|---|
0 | Tis | N0 | M0 |
IA | T1 | N0 | M0 |
IB | T0-T1 | N1mi | M0 |
IIA | T0-T1 | N1 | M0 |
IIA | T2 | N0 | M0 |
IIB | T2 | N1 | M0 |
IIB | T3 | N0 | M0 |
IIIA | T0-T3 | N2 | M0 |
IIIB | T4 | Any N | M0 |
IIIC | Any T | N3 | M0 |
IV | Any T | Any N | M1 |
📄 표준 서식 예시 (코드블록)
암종명: 유방암 (Breast Cancer)
T: T2 (30mm 크기)
N: N1 (액와 림프절 2개 전이)
M: M0
Stage Group: IIB
소견: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으로 확인되며, 주변 연부조직 침습은 없음.
HER2 음성, ER 양성, PR 양성 소견. Ki-67 index는 25% 수준.
🔍 2. 폐암 (Lung Cancer) {#2-폐암-lung-cancer}
📘 암종 설명
폐암은 비소세포폐암(NSCLC, 약 85%)과 소세포폐암(SCLC)으로 구분되며, AJCC 병기 시스템은 비소세포폐암을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병리과에서는 조직 아형(선암, 편평상피암, 대세포암 등), EGFR, ALK, PD-L1 등의 바이오마커 정보가 병기와 함께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AJCC 9차에서는 T, N, M 세분화가 정밀해졌으며, 종양 크기 기준이 1cm 단위로 더욱 세밀하게 조정되었습니다.
🔸 T (Primary Tumor)
- T1a~T1c: ≤ 3cm (세부적으로 1cm 단위로 구분)
- T2a~T2b: > 3cm ≤ 5cm, 기관지 근접 또는 폐렴동반
- T3: > 5cm ≤ 7cm 또는 흉막 침범, 동일 엽 다발성
- T4: > 7cm, 다른 엽 침범, 주요 구조 침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림프절 전이 없음
- N1: 기관지주위, 폐문 림프절
- N2: 종격동 림프절 (동측)
- N3: 대측 또는 쇄골상
🔸 M (Distant Metastasis)
- M0: 전이 없음
- M1a: 반대편 폐 결절 또는 흉막/심막 삼출
- M1b: 한 개의 원격 전이
- M1c: 다발성 원격 전이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2. 폐암 (Lung Cancer)
병기 | T | N | M |
---|---|---|---|
IA | T1a~T1c | N0 | M0 |
IB | T2a | N0 | M0 |
IIA | T2b | N0 | M0 |
IIB | T1a~T2b | N1 | M0 |
IIIA | T1~T3 | N2 | M0 |
IIIB | T4 | N2 | M0 |
IIIC | Any T | N3 | M0 |
IVA | Any T | Any N | M1a or M1b |
IVB | Any T | Any N | M1c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폐암 (Lung Cancer)
T: T2b (4.8cm 종괴)
N: N1 (폐문 림프절 전이)
M: M0
Stage Group: IIB
소견: 비소세포폐암(NSCLC, 선암)으로 확인되며, EGFR 양성, ALK 음성. PD-L1 발현율 30%.
🔍 3. 위암 (Gastric Cancer) {#3-위암-gastric-cancer}
📘 암종 설명
위암은 동아시아에서 특히 흔하며, 병리과에서는 분화도, Lauren 분류형(Intestinal vs Diffuse), 림프절 전이 수가 병기와 함께 중요합니다. AJCC 9차는 종양의 해부학적 위치, 림프절 수, 그리고 주변 장기 침습 여부에 따라 병기가 정해집니다.
🔸 T (Primary Tumor)
- Tis: 상피내암
- T1: 점막/점막하 침범
- T2: 근육층까지 침범
- T3: 장막하 침범
- T4a: 장막 침범
- T4b: 인접 장기 침범 (췌장, 대장 등)
🔸 N (Regional Lymph Nodes)
- N0: 0개 전이
- N1: 1~2개
- N2: 3~6개
- N3a: 7~15개
- N3b: ≥16개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복막, 간, 폐 등 전이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3. 위암 (Gastric Cancer)
병기 | T | N | M | ||||
---|---|---|---|---|---|---|---|
IA | T1 | N0 | M0 | ||||
IB | T2 | N0 | M0 / T1 | N1 | M0 | ||
IIA | T1 | N2 | M0 / T2 | N1 | M0 / T3 | N0 | M0 |
IIB | T2 | N2 | M0 / T3 | N1 | M0 / T4a | N0 | M0 |
IIIA | T2 | N3 | M0 / T3 | N2 | M0 / T4a | N1 | M0 |
IIIB | T3 | N3 | M0 / T4a | N2 | M0 / T4b | N0~1 | M0 |
IIIC | T4a | N3 | M0 / T4b | N2~3 | M0 | ||
IV | Any T | Any N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위암 (Gastric Cancer)
T: T3 (장막하 침범)
N: N2 (5개 림프절 전이)
M: M0
Stage Group: IIIA
소견: 미만성형(Diffuse type) 위선암으로 확인됨. 종양은 전정부(antrum)에 위치하며, 수술적 절제는 subtotal gastrectomy 시행.
🔍 4. 대장암 (Colorectal Cancer) {#4-대장암-colorectal-cancer}
📘 암종 설명
대장암은 선암(Adenocarcinoma)이 대부분이며, 병리과에서는 종양 침습 깊이, 절제된 림프절 수, 림프관/신경 침습 등이 중요합니다. 병기 결정 시, 전이가 있는 림프절 수와 복막 전이 유무가 중요합니다.
AJCC 9차에서는 기존과 유사하지만, M 분류에 복막전이(PM: peritoneal metastasis) 구분이 강화되었고, N 분류 세분화가 강조됩니다.
🔸 T (Primary Tumor)
- Tis: 상피내암
- T1: 점막하 침범
- T2: 근육층 침범
- T3: 장막외 침범
- T4a: 장막 침범
- T4b: 인접 구조물 침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0개 전이
- N1a: 1개 림프절
- N1b: 2~3개
- N1c: 림프절은 없으나 종양침범 부위에 결절 있음
- N2a: 4~6개
- N2b: ≥7개
🔸 M (Distant Metastasis)
- M0: 전이 없음
- M1a: 한 기관 전이 (간, 폐 등)
- M1b: 다기관 전이
- M1c: 복막 전이 ± 다른 장기 동반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4. 대장암 (Colorectal Cancer)
병기 | T | N | M |
---|---|---|---|
0 | Tis | N0 | M0 |
I | T1–T2 | N0 | M0 |
IIA | T3 | N0 | M0 |
IIB | T4a | N0 | M0 |
IIC | T4b | N0 | M0 |
IIIA | T1–T2 | N1/N1c | M0 |
IIIB | T3–T4a | N1/N1c | M0 |
IIIC | T4a–T4b | N2 | M0 |
IVA | Any T | Any N | M1a |
IVB | Any T | Any N | M1b |
IVC | Any T | Any N | M1c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대장암 (Colorectal Cancer)
T: T3 (장막외 침범)
N: N2a (4개 림프절 전이)
M: M0
Stage Group: IIIC
소견: 상행결장 우측에 5cm 크기 선암성 병변. 림프관 침습(+), 신경 침습(+), 복막 침범 없음.
🔍 5. 간암 (Hepatocellular Carcinoma) {#5-간암-hepatocellular-carcinoma}
📘 암종 설명
간세포암(HCC)은 B형 간염, C형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과 연관이 많습니다. 병리 진단에서는 종양 수, 크기, 혈관 침범 여부가 핵심이며, AJCC 9차에서는 특히 문맥혈관 침범과 담관 침범 유무가 병기 결정에 중요합니다.
🔸 T (Primary Tumor)
- T1a: ≤ 2cm, 혈관 침범 없음
- T1b: > 2cm, 단일, 혈관 침범 없음
- T2: 단일 + 혈관 침범 or 다발성 ≤ 5cm
- T3: 다발성 > 5cm
- T4: 인접 장기 또는 대혈관 침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림프절 전이 없음
- N1: 전이 있음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원격 전이 있음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5. 간암 (Hepatocellular Carcinoma)
병기 | T | N | M |
---|---|---|---|
I | T1 | N0 | M0 |
II | T2 | N0 | M0 |
IIIA | T3 | N0 | M0 |
IIIB | T4 | N0 | M0 |
IIIC | Any T | N1 | M0 |
IV | Any T | Any N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간암 (Hepatocellular Carcinoma)
T: T2 (2.8cm + 혈관 침범)
N: N0
M: M0
Stage Group: II
소견: 간 우엽에 2.8cm 크기 간세포암(HCC) 병변 존재. 위성 결절 없음. 혈관 침습(+), 림프절 전이 없음.
🔍 6. 췌장암 (Pancreatic Cancer) {#6-췌장암-pancreatic-cancer}
📘 암종 설명
췌장암은 진단 당시 대부분 진행된 상태이며, 병리과에서 췌관선암(Adenocarcinoma of Pancreatic Duct)이 가장 흔합니다. AJCC 9차는 종양 크기, 혈관 침습, 림프절 수를 기반으로 병기 결정합니다.
🔸 T (Primary Tumor)
- T1a~T1c: ≤ 2cm (세분화)
- T2: > 2cm ≤ 4cm
- T3: > 4cm
- T4: 주요 동맥 침범 (수술 불가)
🔸 N (Regional Lymph Nodes)
- N0: 림프절 전이 없음
- N1: 1~3개 전이
- N2: ≥ 4개 전이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있음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6. 췌장암 (Pancreatic Cancer)
병기 | T | N | M |
---|---|---|---|
IA | T1 | N0 | M0 |
IB | T2 | N0 | M0 |
IIA | T3 | N0 | M0 |
IIB | T1–T3 | N1 | M0 |
III | T4 or N2 | Any | M0 |
IV | Any | Any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췌장암 (Pancreatic Cancer)
T: T3 (4.5cm 종양)
N: N1 (림프절 2개 전이)
M: M0
Stage Group: IIB
소견: 췌장 두부에서 4.5cm 크기의 췌관선암 확인됨. 상장간막정맥(SMV) 침습 의심, 수술적 절제 경계선 병변(borderline resectable).
🔍 7. 식도암 (Esophageal Cancer) {#7-식도암-esophageal-cancer}
📘 암종 설명
식도암은 주로 편평상피암과 선암으로 나뉘며, 위치에 따라 경부, 흉부 상부/중부/하부로 분류됩니다. 병리과에서는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여부, 절제연 상태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AJCC 9차는 조직 아형(편평/선암)과 위치에 따른 병기 차이를 고려합니다.
🔸 T (Primary Tumor)
- Tis: 상피내암
- T1a: 점막층
- T1b: 점막하층
- T2: 근육층
- T3: 장막 전까지 침윤
- T4a: 인접 구조 침범 (폐막 등) – 수술 가능
- T4b: 수술 불가능 구조 침범 (기관, 대동맥 등)
🔸 N (Regional Lymph Nodes)
- N0: 전이 없음
- N1: 1~2개
- N2: 3~6개
- N3: ≥7개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원격 전이 있음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편평상피암 기준)
7. 식도암 (Esophageal Cancer)
병기 | T | N | M |
---|---|---|---|
0 | Tis | N0 | M0 |
IA | T1a | N0 | M0 |
IB | T1b | N0 | M0 |
IIA | T2 | N0 | M0 |
IIB | T3 | N0 | M0 |
IIIA | T1–T2 | N2 | M0 |
IIIB | T3 | N1–N2 | M0 |
IIIC | T4a | Any N | M0 |
IV | Any | Any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식도암 (Esophageal Cancer)
T: T3 (근육층 침범, 외막 근접)
N: N1 (2개 림프절 전이)
M: M0
Stage Group: IIIB
소견: 흉부 중간부위 식도에 5cm 크기의 편평상피세포암 확인됨. 장막 직전까지 침윤, 기관 및 대동맥 침범 없음.
🔍 8. 후두암 (Laryngeal Cancer) {#8-후두암-laryngeal-cancer}
📘 암종 설명
후두암은 해부학적으로 성문부, 상부성문, 하부성문으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은 편평상피암이며, 병리과에서는 성대 움직임, 연골 침범 여부를 포함하여 기술합니다.
AJCC 9차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T병기 정의가 다릅니다.
🔸 T (Glottic Cancer 기준)
- T1: 한쪽 성대 국한, 정상 움직임
- T2: 둘 중 하나 이상 침범, 성대운동 이상
- T3: 성대 고정 or 연골 침범
- T4a: 갑상선연골 침범 또는 경부 연부조직 침윤
- T4b: 전척추근, 대혈관, 종격동 침윤
🔸 N (Regional Lymph Nodes)
- N0: 없음
- N1: 단일, ≤3cm
- N2: 다발, ≤6cm
- N3: >6cm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있음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8. 후두암 (Laryngeal Cancer)
병기 | T | N | M |
---|---|---|---|
0 | Tis | N0 | M0 |
I | T1 | N0 | M0 |
II | T2 | N0 | M0 |
III | T3 or N1 | M0 | |
IVA | T4a or N2 | M0 | |
IVB | T4b or N3 | M0 | |
IVC | Any | Any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후두암 (Laryngeal Cancer)
T: T2 (상부성문 및 성문부 침범, 성대 운동 제한)
N: N0
M: M0
Stage Group: II
소견: 편평상피암으로 상부성문을 포함한 병변. 좌측 성대 고정 없음. 갑상선 연골 침범 없음.
🔍 9.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9-자궁경부암-cervical-cancer}
📘 암종 설명
자궁경부암은 편평상피암, 선암이 주로 발생하며, 병리과에서 진단은 생검이나 LEEP, 원추절제 등으로 이뤄집니다. AJCC는 FIGO 병기와 병용되며, 림프절 전이 유무(N)가 병기에서 중요하게 반영됩니다.
🔸 T (Primary Tumor)
- Tis: 상피내암
- T1a: 미세침윤
- T1b: 육안적 병변 ≤ 4cm
- T2: 자궁경부 외 확산 (질 상부, 인대 등)
- T3: 골반벽, 질 하부 침범
- T4: 방광, 직장 침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없음
- N1: 림프절 전이 있음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있음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9.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병기 | T | N | M |
---|---|---|---|
0 | Tis | N0 | M0 |
IA | T1a | N0 | M0 |
IB | T1b | N0 | M0 |
IIA | T2a | N0 | M0 |
IIB | T2b | N0 | M0 |
IIIA | T3a | N0 | M0 |
IIIB | T3b | N0 | M0 |
IIIC | Any | N1 | M0 |
IVA | T4 | Any | M0 |
IVB | Any | Any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자궁경부암 (Cervical Cancer)
T: T2b (자궁인대 침범)
N: N0
M: M0
Stage Group: IIB
소견: 편평상피세포암. 자궁체부는 침범 없음. 골반 림프절 전이 없음. 방광 직장 침습 없음.
🔍 10.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10-전립선암-prostate-cancer}
📘 암종 설명
전립선암은 고령 남성에서 흔하며 대부분 선암(Adenocarcinoma)입니다. 병리과에서는 Gleason 점수, PSA 수치, 림프절 전이, 주변 조직 침습 등을 고려합니다.
AJCC 9차에서는 기존 TNM에 더해, Grade Group과 PSA 수치를 포함한 예후 분류(Prognostic Stage Grouping)를 강조합니다.
🔸 T (Primary Tumor)
- T1: 영상/촉진에서 안 보이지만 생검으로 진단
- T2: 전립선 내에 국한
- T2a: 절반 미만
- T2b: 절반 초과
- T2c: 양엽 침범
- T3: 피막 밖 침범
- T3a: 피막 밖
- T3b: 정낭 침범
- T4: 방광경부, 직장, 근육 침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없음
- N1: 골반 림프절 전이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a: 림프절(원격)
- M1b: 뼈
- M1c: 다른 장기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10.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병기 | T | N | M | PSA | Gleason |
---|---|---|---|---|---|
I | T1c | N0 | M0 | <10 | ≤6 |
IIA | T1–T2 | N0 | M0 | 10–20 | ≤6 |
IIB | T2 | N0 | M0 | >20 | ≤6 |
IIC | T1–T2 | N0 | M0 | Any | 7 |
III | T3 | N0 | M0 | Any | Any |
IVA | Any | N1 | M0 | Any | Any |
IVB | Any | Any | M1 | Any | Any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전립선암 (Prostate Cancer)
T: T2c (양엽 침범)
N: N0
M: M0
Stage Group: IIC
PSA: 8.5 ng/mL
Gleason Score: 3+4=7
소견: 전립선 선암으로 양엽에 병변 분포. 정낭, 직장 침범 없음. 골반 림프절 음성.
🔍 11. 피부 흑색종 (Melanoma) {#11-피부-흑색종-melanoma}
📘 암종 설명
피부 흑색종은 악성도가 높은 피부암으로, 병리과에서는 Breslow 두께, 궤양 유무, 림프절 전이, 미세전이 여부가 병기 결정에 결정적입니다.
AJCC 9차는 T 병기를 두께(mm)와 궤양 여부로 구분하며, N/M 병기와 함께 예후를 분류합니다.
🔸 T (Primary Tumor)
- T1: ≤1.0mm
- T2: 1.01–2.0mm
- T3: 2.01–4.0mm
- T4: >4.0mm
각 T는 a: 궤양 없음 / b: 궤양 있음으로 세분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없음
- N1: 1개 림프절
- N2: 2–3개
- N3: ≥4개 or 합병된 림프절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a: 피부/피하
- M1b: 폐
- M1c: 뇌 외 장기
- M1d: 뇌 포함
🧩 병기 그룹 (Stage Grouping)
11. 피부 흑색종 (Melanoma)
병기 | T | N | M |
---|---|---|---|
0 | Tis | N0 | M0 |
I | T1a–b | N0 | M0 |
II | T2–T4 | N0 | M0 |
III | Any | N1–N3 | M0 |
IV | Any | Any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피부 흑색종 (Melanoma)
T: T2a (1.5mm 두께, 궤양 없음)
N: N1 (1개 림프절 전이)
M: M0
Stage Group: IIIA
소견: 등 부위에서 절제된 흑색종. Breslow 두께 1.5mm, Clark Level IV, 궤양 없음. SLNB에서 림프절 1개 양성.
🔍 12. 갑상선암 (Thyroid Cancer) {#12-갑상선암-thyroid-cancer}
📘 암종 설명
갑상선암은 대부분 유두암(Papillary)이나 여포암(Follicular) 형태로, 예후가 좋습니다. AJCC 9차에서는 나이 55세를 기준으로 병기 분류가 나뉘며, T/N/M에 따른 세분화도 존재합니다.
🔸 T (Primary Tumor)
- T1: ≤2cm
- T2: >2cm ≤4cm
- T3a: >4cm, 갑상선 내 국한
- T3b: 피막 침범
- T4a: 기관, 식도 침범
- T4b: 대혈관 침범
🔸 N (Regional Lymph Nodes)
- N0: 없음
- N1a: 중심부 림프절
- N1b: 측경부, 종격동 림프절
🔸 M (Distant Metastasis)
- M0: 없음
- M1: 있음
🧩 병기 그룹 (55세 미만 환자)
12. 갑상선암 (Thyroid Cancer)
병기 | T | N | M |
---|---|---|---|
I (55세 미만) | - | - | M0 |
II (55세 미만) | - | - | M1 |
🧩 병기 그룹 (55세 이상 환자)
| 병기 | T | N | M | | — | — | — | — | | I (55세 이상) | T1–T2 | N0 | M0 | | II (55세 이상) | T1–T2 | N1 | M0 / T3 | Any | M0 | | III | T4a | Any | M0 | | IV | T4b | Any | M0 / Any | Any | M1 |
📄 표준 서식 예시
암종명: 갑상선암 (Thyroid Cancer)
T: T1b (1.8cm, 좌엽 국한)
N: N1a (중심 림프절 전이)
M: M0
나이: 56세
Stage Group: II
소견: 유두암(Papillary thyroid carcinoma), 1.8cm. 갑상선 피막 침범 없음. 중심부 림프절 2개 양성. 원격 전이 없음.
Note: 만들고나니 내것이 아니었다.
Leave a comment